심뇌혈관질환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인 심장과 뇌에 발생한 질환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증 같은 심장질환과 뇌졸중(뇌경색, 뇌출혈)과 같은 뇌혈관질환이 포함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심뇌혈관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급속한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생활 수칙을 알려 드릴 테니 확인하셔서 건강하게 생활하시길 바랍니다.
1.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위험 요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과체중, 흡연 등이며, 기온 변화도 영향을 줍니다. 여름 더위와 겨울 추위는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뇌혈관질환의 위험 요소를 미리 알고 대처한다면, 질병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증상
병명 | 조기 증상 |
심근경색증 | • 갑자기 가슴에 심한 통증이나 압박감, 또는 짓누르는 느낌이 있다. • 갑자기 턱, 목, 어깨, 왼쪽 팔 등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느껴진다. • 갑자기 숨이 많이 찬다. • 갑자기 안색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을 흘린다. • 의식이 혼돈 상태가 된다. |
뇌졸중 | • 갑자기 한쪽 얼굴, 팔, 다리에 힘이 빠진다. •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 • 갑자기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양쪽 눈 시야의 반이 보이지 않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인다. • 갑자기 어지럽거나 몸의 중심을 잡기 힘들다. • 갑자기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심한 두통이 있다. |
3.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생활 수칙
1.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2. 술은 가급적 마시지 않습니다. |
3. 적당량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골고루, 짜지 않게 먹고, 통곡물, 채소, 콩,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
4. 규칙적으로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고, 오래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을 줄입니다. |
5. 적정한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
6.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합니다. |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약물치료 등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꾸준히 받습니다. |
9.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를 부릅니다. |
끝으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생활 수칙’을 일상에서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생활습관은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면 늦지 않습니다. 늦기 전에 바로 시작하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고혈압 예방 및 관리수칙, 혈압약 복용시 주의사항 알아보기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경우 28% 60세 이상의 경우 48%가 고혈압 환자라고 합니다. 고혈압은 대체로 증상이 없어 초기 발견이 어렵지만,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침묵의 살인자’라
sh0925.tistory.com
도수, 재활치료의 차이점과 도수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 알아보기
정부는 병원 진료비 중에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연간 5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그중에서 가장 큰 진료과목은 정형외과, 개별 행위는 도수치료인 것으
sh0925.tistory.com